Thursday 23 September 2010

인도에서 온 공주 허왕후는 각색한 역사물



역사학자 이광수 교수, 설화 확대재생산 과정 추적
“‘인도 아유타국에서 온 공주’ 허왕후는 후대의 ‘역사만들기’에 의한 결과물일 뿐이다.”
인도 델리대학에서 역사학을 공부한 이광수 부산외국어대 교수는 최근 펴낸 <인도사에서 종교와 역사 만들기>(산지니)에서 문헌을 더듬어 설화의 확대재생산 과정을 분석해 이렇게 지적했다. 또 1970년대 한 아동문학가의 문학적 상상력에 일부 학자가 가세하고 일부 신문에 의해 부추겨지면서국가주의의 색채마저 띠고 있다고 비판했다.
8세기 혜공왕대 김유신 가문의 후예들이 편찬한 것으로 보이는 ‘개황력’ 또는 ‘개황록’을 시작으로 1076년(고려 문종조) <가락국기>, 1281년 일연의 <삼국유사> ‘가락국기’로 전승되면서 변모를 거듭한 허왕후 설화는 인도 아유타(아유디야)에서 배를 타고 온 공주가 수로왕과 결혼한다는 이야기.
이 교수는 이 설화가 다른 건국설화와 달리 끊임없이 확대재생산된 점과 그 근원지가 신라중기 무열왕계, 김해주변의 사찰, 허씨·김씨 문중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점에 주목했다.
남편 수로왕에 대한 현창은 금관소경 설치, 문무왕 때의 수로왕묘 제사 등과 함께 이뤄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시기는 김유신, 문명왕후 등 가야계 후손들의 권력이 정점에 이르렀던 신라중대 이후. ‘개황록’은 일련의 현창작업 중 하나로 추정한다.
허왕후의 결혼모티브는 나말여초에 삽입된 것으로 본다. 수로왕과 부인 허씨를 지칭하는 ‘세조’, ‘왕후’가 그 무렵에 쓰인 점, 국가와 불교교단의 이해가 맞아 떨어진 불국토 관념이 널리 유포된 시기라는 것이다. 허왕후의 출신지라는 ‘아유타’는 나말여초 불학연구 분위기에서 ‘인도’라는 의미로 삽입되었다고 본다. <경상도지리지>(1524)가 허왕후 출신지를 아유타와 무관한 남천축국으로 기술하거나, <경상도속찬지리지>가 허왕후를 보주태후로 기록한 것도 그러한 추정근거다. ‘보주’의 ‘보’는 산스크리트어 ‘비슈와’의 의역으로 보편적 진리라는 뜻. 보주는 ‘불교의 땅’ 인도라는 의미일 뿐이라는 것. 일부에서 그것을 중국의 보주와 관련짓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이 교수는 말했다.
허왕후 설화는 18, 19세기를 거치면서 ‘장유화상’이라는 허왕후의 오라비가 등장하는 등 확대재생산되는데 김해 명월사(현재 흥국사), 경남 산청의 왕산사, 김해 은하사, 남해 금산사 보리암, 김해 해은사 등의 연기설화에 등장한다. 영정조 때 많이 늘어난 불교사찰을 통제하려 하면서 사찰들이 살아남기 위해, 또 재가신도를 확보하기 위해 영통력을 높이려는 시도와 관련된다고 본다.또 임진-병자 양란 이후 족보가 양산되면서 시조에 대한 윤색작업이 추진되었는데 두 명의 허씨 관찰사의 행적이 주목된다. 허엽은 1580년 수로왕릉을 보수하였고, 허적 역시 1647년 이를 재보수하면서 ‘보주태후허씨릉비음기’에 수로왕의 열아들 중 두 아들이 허씨성을 하사받았음을 기록하였다. 열아들 출산 모티브는 조선초기 송인의 <이암집>에 처음 등장하는데 일곱 아들은 칠불, 칠선 모티브로 대중화하게 된다.
이 교수는 “2002년 김해김씨종친회가 인도의 아요디야에 탄생기념비를 세움으로써 허왕후 설화가 역수출까지 되었다”면서 당시 이를 후원한 인도국민당의 집권을 정당화하는데 일조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데올로기의 중심을 아요디야에 둔 이 정당은 1992년엔 신화 <라마야나>의 라마사원을 복원한다면서 기존 이슬람 사원을 파괴하고 232명의 인명 살상 초래하는 등 극우파쇼적 행태를 보인 바 있다.
확대와 윤색을 제거하면 허왕후 설화의 원형은 ‘물에서 올라온 지모신’이라는 게 이 교수의 주장이다.

1 comment:

Medical Service said...

What a great post...I have learned a lot of this topic...Thanks for sharing this...

हम केवल प्रवाह का अनुसरण कर रहे हैं।

हम चिंताओं, युद्धों, वैश्विक सुरक्षा दुविधा, विचारविहीन राजनीति, चरम स्तर पूंजीवाद, बहुध्रुवीय विश्व, अविश्वास और अवसरवाद से भरी दुनिया 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