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equality minister pledges measures for immigrant wives Competition is getting fiercer in every sector of the Korean society. To hang onto their jobs and get promoted, many salaried workers here come to office early in the morning and work late into night. In order not to lag behind their colleagues, they are under pressure to overwork, leaving little time for their families. Tied to their work, fathers can ill-afford to share house chores with their wives. Women eventually tend to sacrifice their career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gainst this backdrop, women are increasingly opting not to give birth to children due to the difficulty raising children without support from their husbands.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er Paik Hee-young is committed to fixing this vicious cycle. As the chief overseeing the nation’s policies on women, she believes a greater role from fathers in every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ingredient to make women policy a success story. “With fathers taken hostage at workplaces, our homes are brimming with troubles. To pull families out of the trouble, a greater role from fathers at home is a must,” Paik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Fathers are so busy that they have no time to play with their children. This should change. Children need more care from their fathers.” She said it’s also very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life for fathers themselves. In nuclear family, if fathers would not do their role, children will have no chances to mingle with men, she said. “Fathers need to spend more time raising their kids. In the past, there were men, like grandfathers and uncles, around children. But if a father is not at home, kids have no man around these days,” she said. “It’s not men’s fault. They should be given more leeway from heavy work.” She said the whole society needs to pay more attention on the issue. “Bringing back fathers to home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solve a lot of troubles at home. They should spend more time with children and help house chores. By doing so, women will be able to do more actively engage in workplaces.” Paik said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need to work together to achieve the goal. “We are going to do more education on this issue along with companies. And we will ask companies to take steps to reduce work hours for fathers,” she said. Flexible work arrangements Paik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flexible work programs” that allow employees to more flexibly adjust work hours. “Staying longer at office doesn’t necessarily mean they perform well. The ultimate goal of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work program is to give more time for workers to take care of their families,” she said. At the same time, it will help women continue their careers. The program is to help married female employees balance between work and domestic affairs. “In order to tackle low birthrate and help those who gave up their careers due to families, we have to build up working environment where female workers easily deliver birth and care for their children,” Paik said. “This is the reason why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should be more expanded to many working places. Under the program, married women could choose to work part time for the time being after childbirth. This way, she can continue professional career, while caring for their children.” The ministry plans to encourage more companies, particularly public sector first, to offer such programs by offering incentives. It has already introduced a flexible work system to its own employees and is promoting the program to other public agencies. Currently, some 20 government agencies run shorter-time working system and 11 public organizations have adopted flexible working system. Gender gap Apart from the issue, Paik sees Korean women’s status in society is still far low, comparing to economic power and size of the country. “We are preparing a variety of policies to improve gender equality and give women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with financial support,” she said. According to the Gender Gap Index report, released during the World Economic Forum, this month,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women in Korea ranked 104th out of the total 134 countries. Especially, Korea gained poor scores in economic participation and political power of women. “We will create more working places for women and support them to land on jobs. We will also promote family-friendly culture at working places in order to help women balance work and a family,” she said. Steps for immigrant wives Paik said the government will take diverse measures for immigrant wives to smoothly settle here, sending immigration officials to some South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Vietnam and the Philippines to build “healthy marriage culture” here and abroad. As more and more Korean men are looking for wives from developing countries, matchmaking companies have mushroomed and some of them were involved in illegal practices including unlicensed operations and the provision of false information on a partner’s personal profile. These unlawful practices have been highlighted by the murder of a Vietnamese bride by her mentally-ill Korean husband last July and a series of measures by the government came up to stem the recurrence of such a tragedy. “We have intensified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matchmaking agencies and will bring a light to the industry by nurturing more non-profit marriage agencies. We will soon send marriage immigration officials to the countries,” Paik said. She recently visited Vietnam to discuss officials there to help create healthier international marriage culture and protect human rights of Vietnamese women. “I believe more non-profit marriage firms should be set up and the immigration officials will contribute to solve problems of immigrant women in cooperation with the agencies. Nonghyup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is one of good examples running non-profit matchmaking agency,” Paik added. Currently, the ministry mandates Koreans looking for a foreign spouse to complete pre-marriage education about the legal system and culture of the countries that their wives come from, to protect immigrant wives. In addition, an emergency call center for immigrant wives (1577-1366) and websites will have their available languages become more diversified. The gender equality minister stressed caring interracial families is one of core three state projects. There are 159 care centers for interracial families across the country. The centers provide those families with Korean language courses and caring mixed children. The ministry plans to increase the centers up to 200 next year and the staffers to 3,200 from current 2,240. “The staffers visit those families and counsel even Korean mother-in-laws,” she said. “Despite some tragic cases of immigrant wives, there are many more happy cases. About 76 percent of the Vietnamese wives are happy about their marriages with Korean husbands, according to Vietnamese embassy here.” The minister had a meeting with prime minister of the country where many Korean people and companies run business. Paik also mentioned there are big gaps of expectations between Korean husbands and wives from developing countries. “Many (foreign) wives have wrong ideas about life here through Korean dramas. As many wives are young, it is also matter of juveniles,” she said.
| ||
source:koreatimes |
Sunday, 31 October 2010
Flexible working to help women pursue careers
India’s Look East Policy
India’s Look East Policy: New Era of India-ASEAN Relations
Prof. Man Mohini Kaul
In the Asia of the mid 1960s, when individualism and closed economies were the order of the day,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were the first to realize the benefits of cooperation and were instrumental in the creation of the ASEAN Forum. Leadership in cooperation is not an empty first mover advantage but has real learning and experience benefits that add substantive content to cooperation. Southeast Asia has reaped the benefits of its openness and foresight, though no one could have envisaged just how advantageous this would prove to be. All paths now seem to pass through the ASEAN region and, in particular, it has greatly benefited from strong economic ties within and with neighbouring countries.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s without doubt the most successful example of regional cooperation in Asia. From Indian perspective the success of ASEAN is particularly laudable, as attempt at regional cooperation in South Asia has not proved effective. Ever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5, the 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SAARC) has been marred by interregional tensions. Even the other initiative in the region –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 has not been able to achieve the goals announced with much fanfare at its establishment in 1989
India’s Look East Policy : Problems and Prospects
Prof. C. Ravindranatha Reddy
India’s Look East Polic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element in its foreign policy focus. It gave a new direction and provided a decisive shift in India’s traditional focus on foreign policy. The Look East Policy is pursued in a multifaceted manner in diverse areas such as improved connectivity, promotion of trade and investment and cultural exchanges, and has also been pursued through constructive engagement with various regional organizations such as ASEAN, East Asian Summit (EAS), Bay of Bengal Initiative for Scientific, Technical and Economic Cooperation (BIMSTEC), Mekong-Ganga Cooperation (MGC).
India’s Look East Policy and the Indian Diaspora
Dr. Amit Singh
The Indian Diaspora across the world ranks second after the Chinese. People of Indian Origin (PIOs) and Non-Resident Indians (NRIs) are present in all parts of the globe.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overseas Indian community, numbering over 25 million, is spread over 189 countries. While the history of the Indian Diaspora dates back to the pre-Christian era, large-scale emigration of Indians took place mainl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The colonial period witnessed unprecedented emigration of indentured and other laborers, traders, professionals and employees of the British Government to the European (British, French and Dutch) colonies in Asia, Africa,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owever, it was only post-World War II that the most far-reaching emigration of Indians took place, mainly of professionals, to the developed countries namely England, the U.S.A., Canada,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 oil boom in the 1970s and 1980s saw millions of Indians migrating to the Gulf and West Asian countries. In today’s globalised world, Indians in various sectors like IT, medicine, and trade are finding opportunities abroad, which also include a large number of students seeking admission in developed countries, thereby adding to the numbers of the Diaspora. The Indian Diaspora constitutes more than 40 per cent of the population in Fiji, Mauritius, Trinidad, Guyana and Surinam.
Indian Navy and its role in India’s Look East Policy
Anushree Bhattacharyya
India is at present rising in the international order. It is gradually becoming a major player in the ‘Concert of Asia’. Having one of the fastest growing economies, India is using its newly found wealth in modernizing the conventional military capabilities as well as its nuclear and missile technology. This has added vigour to its military strength and makes it the foremost maritime powers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Indian Nav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layer in the Asian waters, which has potential to operate beyond its territorial waters. In fact, the nation sits astride key Sea Lanes of Communications (SLOCs) for energy security, and it has been projecting power for purposes as varied as tsunami relief and strategic deterrence. Fellow Asian sea powers therefore are increasingly taking into account India’s naval strength – and not just it’s potential.
India-Myanmar: Growing Engagement Relations
Prof. A. Lakshmana Chetty
Look East Policy is a master stroke of the visionary Prime Minister Narasimha Rao who had striven to shape the destiny of India during his five year stint since 1991. It was a right step at a right time in a right direction. It was a natural corollary of the liberalization programme launched in India in the early 1990s. One can easily assert that Look East Policy has been a nonpareil in the history of Independent India in matters of yielding spectacular results. The fact that the successive governments pursued it assiduously speaks of the effectiveness and potentials of the Look East Policy.
India-Japan Relations
Prof. G V C Naidu
Japan was a major target for interaction right from the time India embarked on the economic reform in the early 1990s. In fact, it was Tokyo that New Delhi turned to when it faced with severe foreign exchange crisis and Japan did help India. Once India embarked on market-oriented economic reform programme, once again expectation were high from Japan as a major source of direct investment. India had anticipated Japan to play a role similar to what it had done in most countries in East Asia starting from the early 1970s through massive investments and generous aid to build infrastructure. However, that failed to materialise for a variety of reasons, especially its poor investment climate as compared to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nations. Japan’s ability to invest generously reduced drastically with the bursting of the economic bubble in the early 1990s. Thus, India became least priority area.
India-Thailand in the New Global Order:Looking East to Linking East
Prof. Tridib Chakraborti
“Our engagement with the ASEAN countries is a key element of India’s vision of an Asian economic community that is based on an open and inclusive architecture. India wishes to partner ASEAN in realizing this vision on the basis of mutual benefit,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espect….India's engagement with the ASEAN is at the heart of our 'Look East' Policy. We are convinced that India's future and our economic interests are best served by greater integration with our Asian partners.” This was said by the Indian Prime Minister, Man Mohan Singh, at the 7th India-ASEAN Summit and the 4th East Asia Summit, held in Hua Hin, Thailand on 24 October 2009. This speech has been quite deliberately imperative for New Delhi in the context of its ‘Look East’ policy, under the second tenure of the United Progressive Alliance (UPA) government, formed in 2009. Although the process of India’s ‘Look East’ policy has been effectively accelerated after P. V. Narashima Rao’s Singapore Speech of 1994, the manner in which India played an effectual role during the two decades in devising this policy with reference to Thailand will be the core subject matter of study of this article, against the uncertainties and obstacles that both have shared in the past.
East Asia Integration - China’s Reservations on India Playing a Leading Role
D.S.Rajan
Since early nineties, integration with East Asia remains an important foreign policy goal for India and to accomplish it, the government has put a Look East Policy in place. India’s leaders could develop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should form the pillars of that policy; a firm evidence has been the assessment (Kuala Lumpur, 12 December 2005) of Prime Minister Dr. Manmohan Singh that “India’s Look East policy is not merely an external economic policy, it also marks a strategic shift in India’s vision of the world and its place in the evolving global economy. Most of all, it is about reaching out to our civilisational neighbours in South East Asia and East Asia.”
India’s Eastward Engagement: An Indonesian Perspective
Dr. Vibhanshu Shekhar
Introduction
The end of the Cold War and India’s domestic economic liberalization policy offered an appropriate politico-strategic atmosphere for reviving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s with ASEAN. With the launch of India’s Look East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ASEAN during the last eighteen years has acquired a multi-faceted and more complex outlook with the range of cooperation covering almost every aspect of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ndeavour of human beings. With the process of inter-regional cooperation witness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expansion, various initiatives have been taken to further institutionalize and form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ASEAN. Once a Sectoral Dialogue Partner of ASEAN, India today shares membership with ASEAN countries in two pan-Asia-Pacific regional frameworks of ARF and EAS and is engaged, since 2001, in the summit level meetings with ASEAN. Indonesia has figured prominently in India’s eastward engagement as an informal leader of ASEAN, the most powerful country in Southeast Asia, a member of the Non-aligned movement, the largest maritime neighbour of India, and an important strategic player in Asia. With its sustained economic recovery,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domestic political stability, Indonesia is pois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volving Asian geopolitics and, in India’s strategic positioning in Asia, especially when they have high stakes in the peace, stability and prosperity of a multi-polar Asia.
India and South Korea: the Mirror of De-linking and Linking Saga
Mohor Chakraborty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widely acclaimed as the “Asian Century” has brought with it expectations of a greater degree of cooperation among the politically diverse states of Southeast and East Asia on the one hand and India, on the other. Such an ambitious possibility is contingent upon a set of three significant trends: the rapid and continuing rise of China matched by the diplomatic activism of Japan and South Korea; the ascent of India in the spheres of economics, security, culture and strategic determinism; and the post-recessionary trend of America’s economic decline on the global stage. The smallest territory among the G-20 major economies, South Korea, today is the fourth largest (in terms of economic) in Asia and Seoul is one of the world’s top-10 financial and commercial cities. It is against such a backdrop that India is steadily expanding its footprints through its ‘extended neighbourhood’ policy, based on its inauguration of Phase II of India’s ‘Look East’ Policy, which was officially declared at the Second India-ASEAN Business Summit, New Delhi, on 4 September 2003, when the then Indian Minister of External Affairs, Yashwant Sinha said:
Indo-Sino Energy Quest in Myanmar
Jagdish Prasad Verma
.
India, as the world's number six energy consumer, is also in a more desperate situation as that of China. India currently imports roughly 70% and China around 40% of its oil. Furthermore, China's proven oil reserves stand at 18 billion barrels, compared to 5 billion barrels in India. As the energy needs of both countries continue to grow, their oil imports are set to increase substantially. Due to the size of their populations and their rapid economic growth, India and China face a formidable challenge in their pursuit of energy security. How the two governments seek to meet this challenge is vital to the future political stability of Asia as a whole.
However, this quest for energy security is being impeded by India's sometimes tense relations with energy suppliers, energy transit countries and energy competitors. For example, just as India and China have for centuries engaged in competition for leadership in Asia, the developing world and status on the world stage, so the need for energy security has now raised the possibility of further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in the energy sphere
India’s ASEAN Trade Perspectives Integration
Debashis Chakraborty
In the post-independence phase, India adopted the import-substitution led growth model, as a result of which export pessimism was quite high during sixties and seventies. Consequently, enhancing trade integration with other countries was not accorded due importance. Exports were viewed only as necessary means to meet the foreign exchange requirement to finance imports. The policymakers were motivated by the planned economy framework of Russia and other socialist countries, which emerged as the role model for Indian economy.
The limitation of the above-mentioned growth model became obvious increasingly during eighties, with the rising trade deficit figures. Finally in early nineties, the macroeconomic and external instability forced the country to initiate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me as per IMF recommendation. As a result, a new set of role models were necessary, and the East Asian Tigers given their comparable development level provided quite a handful of them. The economies of South Korea, Singapore etc. experienced massive growth through the ‘Flying Geese’ model, thanks to Japanese investment and technical know-how transmission. The potential trade liberalizations resulting from Uruguay Round of GATT negotiations also prompted the country to go for ‘Look East’, by going for the hitherto untapped export market.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integration with East Asia would be instrumental in obtaining technology from that region as well.
Source:World Focus(Journal)
Saturday, 30 October 2010
My visit to Music Institute of Korea
Being a lover of Music I am very fond of visiting places which contains Musical Instruments,Korean Musical Instruments has always attracted me after coming to Korea.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Samulnori(a traditional performance of Korea in which four instruments are used),Instruments used in throat singing,Pansori drum etc draws my attention no matter how much I am busy.Yesterday,I visited Music Institute of Korea to see various Musical instruments of Korea.here are some of those pictures which I took there.
It was really a great experience to see these Korea's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I would like to recommend to visit this place atleast once if you are in Korea.
JNU's Korean Language Program marks 15th Anniversary
"Understanding Korea: A Cross-Cultural Perspective,"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rganized by the Centre for Japanese, Korean, and Northeast Asian Studies at Jawaharlal Nehru University (JNU) and supported by the Korea Foundation, was held from October 8 to 9 at JNU, New Delhi, India. This conference and various Korea-related cultural events were held to celebrate the 15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Jawaharlal Nehru University, the first university in India to introduce a Korean language program. |
Conference on Korea's Nation Brand:From a perspective as a Foreign Student studying in Korea
The Conference on Korea's National Brand dealing with "How the G-20 Seoul Summit and the issue of North Korea's hereditary power succession affect South Korea's National brand" yesterday at Hilton Hotel ,Seoul was attended by Prominent Experts from different Nations,Some eminent Professors in Korea, some Members of The Presidential Council and some Foreign students in Korea at different Universities.This Conference was a privilege for me to know the various aspects of Korea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ts growing importance.But Inspite of its growing importance how the brand value of Korea has been affected in few years is always been an important issue to be discussed.Though short but the highly informative discussions and presentation in the Conference provided me a broader perspective about the impact of the G-20 and its Geopolitical impact on Korean Peninsula.
Experts from different Nations and Korea discussing about the importance of Korea in the World
G-20 Summit Emblem introduction
Experts from different Nations and Korea discussing about the importance of Korea in the World
Experts focusing on G-20 Summit and the role of Korea.
The Conference was a good opportunity for the foreign students in Korea especially to know Korea and its brand image in an organised manner.The first presenter who highlighted that How Korea has changed in the past few decades was an interesting story.The pictures through the slides made me realise once again that this Country has really changed itself like a Miracle i.e The Miracle of Han River.The American speaker highlighting the role of Korean Business Chaebols too was an interesting discussion.Moreover an Expert who said some interesting story about how some People are still get confused when it comes to Korea in distinguishing with the North Korea was also a very important thing to noted out as I personally have felt it even in India too.
The Conference was held at Hilton Hotel Seoul.
G-20 Seoul Summit Korea is the First Country in Asia to host this summit.
G-20 Summit Emblem introduction
A Milestone between Indo-Korean Relation
Korea and India have finalised a civil nuclear agreement which now awaits signature, after a meeting between Prime Minister Manmohan Singh and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on the sidelin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summit.
Korean President Mr. Lee Myung Bak and Indian Prime Minister Manmohan Singh discussed issues relating to the G-20 summit, which will be hosted next month by South Korea, the first time by a non-G-8 country. Mr. Lee mentioned the need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decisions taken at G-20 meetings. Dr. Singh agreed that both sides would work together to achieve this aim.
I believe that some treaties like this would also be sig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make these two Countries more closer.
Thursday, 28 October 2010
나의 한글과 한국과의 뜻깊은 사랑!
▲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주최하고 한국어세계화재단과 한국방송 주관으로 개최한 ‘제1회 외국인 한국어 겨루기 한마당’에 참여한 외국인들이 권재일 국립국어원장과 함께 단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제공: 한국어세계화재단) |
예선 100여 명 참가… 한류열풍 넘어 한국문화의 장 될 것
삼보 볼간타미르 “한국노래 번역하다 실력 늘었어요”
가브리엘 “한국인 간호사 여자친구가 많이 도와줘요”
슐레포바 안나 “김치찌개 좋아하는 한국 주부됐어요”
선저이 꾸마르 “인도에 한국을 널리 알리고 싶어요”
삼보 볼간타미르 “한국노래 번역하다 실력 늘었어요”
가브리엘 “한국인 간호사 여자친구가 많이 도와줘요”
슐레포바 안나 “김치찌개 좋아하는 한국 주부됐어요”
선저이 꾸마르 “인도에 한국을 널리 알리고 싶어요”
[천지일보=김예슬 기자] “‘안내 계시판’과 ‘태극기 게양대’ 중에서 어떤 것이 틀린 문장일까요, 답을 골라 바르게 고쳐주세요. 10초 9초 8초….”
KBS 엄지인 아나운서의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서툰 글씨체로 ‘계시판’을 ‘게시판’으로
고쳐 쓰는 참가자 4명은 모두 외국인.
이들은 평소 한국어에 관심이 많던 외국인들로 한글날(10월 9일)을 맞아 열린 ‘제1회 외국인 한국어 겨루기 한마당’ 1, 2차 예선에서 100여 명과 겨뤄 3차 본선에 오른 한국어 베테랑이다.
KBS 엄지인 아나운서의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서툰 글씨체로 ‘계시판’을 ‘게시판’으로
고쳐 쓰는 참가자 4명은 모두 외국인.
이들은 평소 한국어에 관심이 많던 외국인들로 한글날(10월 9일)을 맞아 열린 ‘제1회 외국인 한국어 겨루기 한마당’ 1, 2차 예선에서 100여 명과 겨뤄 3차 본선에 오른 한국어 베테랑이다.
경희대학교(총장 조인원)와 (주)연합뉴스(사장 박정찬) 공동 주최로 14일 오후 경희대 크라운관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대회'는 참가자들의 재치있는 한국말 솜씨로 폭소와 박수가 연신 터져 나왔다.
세종대왕 탄신 613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날 대회에는 결선에 오른 16개국 22명의 외국인과 그 가족, 언론사 관계자, 외빈 등 1천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첫 번째 순서인 중국의 웨이우팅(20.魏宇女+亭.여) 씨는 '사투리는 아름다워'란 주제의 발표에서 "뭐라카노", "욕봤데이" 등의 부산 사투리를 써가면서 "한국의 진정한 미는 사투리의 구수한 멋"이라고 소개해 청중의 갈채를 받았다.
이어 인도 전통복장을 입고 나와 '한국의 맛과 멋'을 소개한 선저이 꾸마르(22) 씨는 시인 타고르의 '조용한 아침의 나라' 중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를 큰 소리로 외쳐 박수갈채를 받았다.
세종대왕 탄신 613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날 대회에는 결선에 오른 16개국 22명의 외국인과 그 가족, 언론사 관계자, 외빈 등 1천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첫 번째 순서인 중국의 웨이우팅(20.魏宇女+亭.여) 씨는 '사투리는 아름다워'란 주제의 발표에서 "뭐라카노", "욕봤데이" 등의 부산 사투리를 써가면서 "한국의 진정한 미는 사투리의 구수한 멋"이라고 소개해 청중의 갈채를 받았다.
이어 인도 전통복장을 입고 나와 '한국의 맛과 멋'을 소개한 선저이 꾸마르(22) 씨는 시인 타고르의 '조용한 아침의 나라' 중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를 큰 소리로 외쳐 박수갈채를 받았다.
한국 정부 초청 장학생으로 한국에 온 그는 8개월밖에 안 됐지만 '작은 고추가 맵다'라는 속담을 인용하거나 비빔밥의 오묘한 맛을 능숙한 한국말로 설명하는 등 한국인 뺨치는 말솜씨를 자랑했다.
자신을 '대한민국에서 제일 잘생긴 한국인 남편을 만나 신혼생활을 한지 얼마 안돼 아직은 아가씨같은 주부 안나'라고 소개한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슐레포바 안나(24) 씨는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결혼을 반대했던 시아버지가 처음에는 야속하고 미웠다"고 울먹여 한때 대회장을 숙연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지금은 시아버지가 너무 아껴 주시고 예뻐해 주시니 마치 꿈처럼 믿을 수 없는 아주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고 말해 금새 분위기를 바꿨다.
원더걸스, 소녀시대, 카라, 브라운아이즈걸스 등 한국 가수를 무척 좋아해 길 가다가도 이들의 노래만 나오면 귀를 쫑긋 세운다는 파키스탄의 이크발 무다실(22) 씨는 "장윤정 누나를 가장 좋아한다"며 즉석에서 '어머나'를 멋지게 불러 박수갈채를 받았다.
1983년 세계 최초로 태권도학과를 개설한 경희대의 첫 외국인 졸업생인 이탈리아인 마르코 이엔나(27.공인 4단) 씨는 태권도복을 입고 출전해 한국인보다 더 자연스런 한국말로 '태권도 자랑'을 늘어놓았다.
기마서기, 범서기, 학다리서기 등 태권도 자세를 직접 선보이며 관심을 끈 그는 "태권도를 통해 한국인의 천지인 철학에 담겨 있는 우주 만물의 일체성을 느낀다"고 말했다.
사자성어 '불철주야'라는 말로 열심히 일하는 한국을 표현한 몽골의 노민다르(20.여) 씨는 "한국에 와서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배우고, 다음으로 '빨리빨리'를 익혔다"고 말해 좌중을 웃겼다.
한복을 입고 나와 "한국은 저에게 기회의 나라이고, 내 미래를 함께할 나라다. 그리고 저는 한국을 진짜 사랑한다"고 발표한 미국의 크리스 컨리(29) 씨는 대한 ANC 광고회사 일한다.
인도네시아의 킴벌리(20.여) 씨는 장구를 메고 나와 시작과 끝을 장구 공연으로 하면서 발표를 해 주목을 받았다.
'나는야 장구 소녀'라는 발표 제목처럼 그는 사물놀이를 소개하면서 "이제 장구만 보면 손이 간질간질하다"고 말했고 이제 관중들은 "킴벌리 킴벌리"하며 그의 이름을 연호했다.
동영상까지 준비해 주제의 이해를 도운 아르메니아 출신의 도나라(22.여) 씨는 '쉬지 않는 시계, 한국'이란 발표에서 "자연 자원은 부족해도 똑똑한 인적 자원이 풍부한 한국의 '빨리 빨리' 문화를 고국에 돌아가 알리겠다"는 의지를 밝혀 열띤 환호를 받았다.
미얀마의 산다툰(26.여) 씨는 '피겨 여제' 김연아와 축구스타 박지성 선수의 대형사진을 들고 나와 "뭐든지 열심히 하는 사람은 아름다우니까 우리 모두 이런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자"고 제안했다.
동국대에 유학중인 네팔의 세르빠 락빠(25) 스님은 한국이 눈부신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이유를 불교의 108배 정신에서 찾았다고 소개했다.
흰색 차도르를 두른 이란의 싸키네 버게리(27.여) 씨는 '대~한민국'을 외치며 4박자 손뼉을 쳤고, 영국의 숀 블레이클리(20) 씨는 "미래 한국을 이끌어갈 주인공은 아주머니"라고 말해 장내를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심사위원장인 백봉자 전 경희대 교수는 "참가자들의 한국어 수준은 세종대왕도 놀랄 만큼 능숙했다"며 "이들을 통해 세계 속 한국의 위상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마지막 본선은 KBS에서 진행됐다. 본선에는 몽골에서 온 삼보 볼간타미르(22, 남, Sambuu Bulgantamir) 씨와 프랑스에서 온 가브리엘(24, 남, Boutry Gabriel) 씨, 한국인과 결혼해 다문화 가정을 꾸린 키르기스스탄인 슐레포바 안나(25, 여, Shulepova Anna) 씨, 인도에서 온 선저이 꾸마르(23, 남, Sanjay Kumar) 씨가 참여해 대결을 펼쳤다.
4명 외국인 모두 한국어 실력이 출중해 아나운서와 한 조가 돼 겨루기로 했던 기존 3차 본선은 아나운서들이 빠진 채 진행됐다.
▲ ‘제1회 외국인 한국어 겨루기 한마당’ 2차 본선이 열린 국립국악원 뒷마당에서 키르기스스탄인 슐레포바 안나(25, 여) 씨가 직접 쓴 한글날 표어를 들고 있다. (제공: 한국어세계화재단) |
한국노래가 마냥 좋아서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불렀다는 삼보 볼간타미르 씨는 “어느 순간 노래가 의미하는 내용이 궁금해져서 번역하기 시작했다”며 “한국어는 몽골어랑 어순과 구조가 비슷하다. 2015년까지 한국에서 공부를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삼보 볼간타미르 씨에 따르면 몽골에서는 한류열풍이 불고 있다고.
반면 인도에서는 대부분 사람이 한국제품을 쓰면서도 한국에 대해 잘 모른다고 선저이 꾸마르 씨는 말했다. 일부 사람들은 현대 자동차를 타고 다니면서도 일본의 자동차로 착각하기도 한다.
선저이 꾸마르 씨는 “인도와 한국은 경제·외교적으로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며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관광·역사 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싶다”는 바람을 비췄다.
3시간가량 진행된 방송녹화가 물 흐르듯 술술 진행될 정도로 한국어에 능숙한 이들이지만 처음에는 한국 사람의 정서와 언어를 이해하는 데 서툴렀다. 가브리엘 씨는 “한국 사람들은 ‘밥 한 번 먹자’라는 말을 자주 한다. 우리나라 사람은 그런 말을 잘 안 해서 신기했다”고 말했다.
가브리엘 씨는 “한국 사찰에 머물렀던 적이 있다. 절에서는 아주머니를 ‘보살님’이라고 불러서 아주머니는 ‘보살님’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밖에 나가서도 아주머니를 보면 ‘보살님’이라고 부르며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인사드렸던 적이 있다”고 했다.
선저이 꾸마르 씨는 “예전에 기숙사에서 생활했던 적이 있다”며 “공용 샤워실에서 옷을 다 벗고 씻어서 난감했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은 사우나를 좋아한다”고 말해 주변의 웃음을 자아냈다.
이들은 한국어를 배우고 익히는 데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컸다며 방송 녹화 중간에 지인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특히 슐레포바 안나 씨는 시부모님께, 선저이 꾸마르 씨는 결선 퀴즈에 나온 ‘-시오’와 ‘-시요’의 차이를 한국 택시 아저씨한테 배웠다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겨루기가 진행되는 동안 단순한 경연대회가 아닌 교육적 성격을 띤 참여형 행사로 진행했다”며 ”앞으로 기존 경연대회를 아우르면서 차별성과 대표성 있는 한국어 한국문화 행사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1회 외국인 한국어 겨루기 한마당’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주최하고 한국어세계화재단과 한국방송 주관으로 개최됐다.
【서울=뉴시스】팽현준 기자 = 23일 오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대한민국민족혼국토지킴이회가 주최한 '행정안전부 2010 민간단체 공익사업 - 외국인 유학생 역사·문화 세미나'에 참석한 외국인 학생들이 자리에 앉아 세미나를 듣고 있다.
맛은 멋과 서로 통한다고 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비빔밥이 바로 한국의 멋을 대변하는 한국의 맛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재료가 서로 비벼지고 뭉개져서 생겨나는 독특한 맛에서 저는 한국을 발견합니다."(선저이 꾸마르.인도)
"경비 아저씨께서 저에게 화난 목소리로 '뭐라카노'라고 하셨습니다. 나중에 그 말이 표준어로 '무슨 말이니?'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처음 경험한 부산 사투리는 낯설고 거부감이 들었습니다. 시간이 흐른 뒤 아르바이트할 때 사장님께서 '퇴근하그라. 욕봤데이'라고 말씀하실 때도 놀랐지만 그 뜻이 '수고했다'는 것임을 알고 따뜻한 정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진정한 미는 사투리의 구수한 멋입니다."(웨이우팅.여. 중국)
14일 오후 경희대학교 크라운관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서는 이국땅 한국에서 경험한 외국의 생생한 체험담이 한국어로 쏟아져 나왔다.
세계 29개국 1천119명을 제치고 결선에 오른 14개국 22명의 참가자는 저마다 한국생활에서 보고 느낀 경험들을 한국어로 또박또박 말했다. 이 대회는 경희대(총장 조인원) 국제교육원과 연합뉴스(사장 박정찬)가 '한국의 미(美)', '일하는 한국', '한국 문화 체험' 이란 주제로 공동 개최한 행사다.
'그 어떤 드라마보다 한국이 재미있다'는 미국인 앤드루 누누 씨는 2008년 한국에 오기 전 한국 드라마를 보면서 기대에 차 있었는데 방한 후에는 서울의 궁궐과 용인민속촌 등을 돌아보면서 더 소중한 경험을 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인 아내를 만나 한국의 여기저기를 다니며 드라마에서 느낄 수 없는 진정한 미를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중국 출신의 덩난(21.鄧南.여) 씨는 '한국의 미는 언어 자체에 있다'는 주제의 발표에서 "언어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매개물로써 한 사람의 인격적 수양과 자세를 볼 수 있고, 나아가 그 민족의 문화와 문화적 미를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높임말이 있는 한국어는 서로 존중하고 예의를 지키게 하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아름답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고려대 한국어문화교육센터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 온 마르코 이엔나 씨는 태권도에 대해 열변을 토했다.
그는 "태권도 회원국이 전세계 191개국에 달한다. 태권도를 제대로 배우고 싶은 마음 하나로 한국에 왔고, 태권도를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에 매료됐다."며 "태권도를 통해 한국인의 천지인 철학에 담겨 있는 우주 만물의 일체성을 느낄 수 있기에 최고의 행동철학 예술"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소카(創價)대학에 재학하는 오타 마사아키(22.太田正明) 씨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자비를 들여 비행기를 타고 날아왔다.
그는 '아름다운 한국어는 세계의 희망'이란 주제로, 존댓말이 있는 한국어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훌륭한 문화라고 극찬하면서 "한글은 세종대왕이 완성한 합리적이고 이론적으로 우수한 문자로, 외계인들이 지구에 왔을 때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언어"라고 주장했다.
몽골에 살 때 드라마를 보면서 등장 인물이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물을 마시고 '아! 시원하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정말 신기했지만 한국에 와서 그 이유를 알아냈다는 볼간타미르(21) 씨.
중국에서 온 쉬즈쉬엔(21.石芷瑄.여) 씨는 자신있고, 당당하게 생활하는 한국인의 모습, 고풍스러운 한옥에서 어머니의 정성을 담은 한식을 먹었던 행복한 일, 지하철의 노약자석 등에서 한국의 미를 찾을 수 있다고 자랑했다.
네팔에서 온 스님인 세르빠 락빠 씨는 "108배를 하면서 한국이 눈부신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이유가 '우리'라는 유교적인 문화 공동체 의식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비 아저씨께서 저에게 화난 목소리로 '뭐라카노'라고 하셨습니다. 나중에 그 말이 표준어로 '무슨 말이니?'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처음 경험한 부산 사투리는 낯설고 거부감이 들었습니다. 시간이 흐른 뒤 아르바이트할 때 사장님께서 '퇴근하그라. 욕봤데이'라고 말씀하실 때도 놀랐지만 그 뜻이 '수고했다'는 것임을 알고 따뜻한 정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진정한 미는 사투리의 구수한 멋입니다."(웨이우팅.여. 중국)
14일 오후 경희대학교 크라운관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서는 이국땅 한국에서 경험한 외국의 생생한 체험담이 한국어로 쏟아져 나왔다.
세계 29개국 1천119명을 제치고 결선에 오른 14개국 22명의 참가자는 저마다 한국생활에서 보고 느낀 경험들을 한국어로 또박또박 말했다. 이 대회는 경희대(총장 조인원) 국제교육원과 연합뉴스(사장 박정찬)가 '한국의 미(美)', '일하는 한국', '한국 문화 체험' 이란 주제로 공동 개최한 행사다.
'그 어떤 드라마보다 한국이 재미있다'는 미국인 앤드루 누누 씨는 2008년 한국에 오기 전 한국 드라마를 보면서 기대에 차 있었는데 방한 후에는 서울의 궁궐과 용인민속촌 등을 돌아보면서 더 소중한 경험을 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인 아내를 만나 한국의 여기저기를 다니며 드라마에서 느낄 수 없는 진정한 미를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중국 출신의 덩난(21.鄧南.여) 씨는 '한국의 미는 언어 자체에 있다'는 주제의 발표에서 "언어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매개물로써 한 사람의 인격적 수양과 자세를 볼 수 있고, 나아가 그 민족의 문화와 문화적 미를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높임말이 있는 한국어는 서로 존중하고 예의를 지키게 하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아름답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고려대 한국어문화교육센터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 온 마르코 이엔나 씨는 태권도에 대해 열변을 토했다.
그는 "태권도 회원국이 전세계 191개국에 달한다. 태권도를 제대로 배우고 싶은 마음 하나로 한국에 왔고, 태권도를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에 매료됐다."며 "태권도를 통해 한국인의 천지인 철학에 담겨 있는 우주 만물의 일체성을 느낄 수 있기에 최고의 행동철학 예술"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소카(創價)대학에 재학하는 오타 마사아키(22.太田正明) 씨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자비를 들여 비행기를 타고 날아왔다.
그는 '아름다운 한국어는 세계의 희망'이란 주제로, 존댓말이 있는 한국어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훌륭한 문화라고 극찬하면서 "한글은 세종대왕이 완성한 합리적이고 이론적으로 우수한 문자로, 외계인들이 지구에 왔을 때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언어"라고 주장했다.
몽골에 살 때 드라마를 보면서 등장 인물이 김이 모락모락 나는 국물을 마시고 '아! 시원하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정말 신기했지만 한국에 와서 그 이유를 알아냈다는 볼간타미르(21) 씨.
중국에서 온 쉬즈쉬엔(21.石芷瑄.여) 씨는 자신있고, 당당하게 생활하는 한국인의 모습, 고풍스러운 한옥에서 어머니의 정성을 담은 한식을 먹었던 행복한 일, 지하철의 노약자석 등에서 한국의 미를 찾을 수 있다고 자랑했다.
네팔에서 온 스님인 세르빠 락빠 씨는 "108배를 하면서 한국이 눈부신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이유가 '우리'라는 유교적인 문화 공동체 의식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세계 속의 한글'이라는 말은 이제 너무 익숙할 정도다. 한글의 우수한 과학성은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고, 한류열풍으로 인해 한국어를 배우려는 열기 또한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런 열기를 몸으로 느낄 수 있었던 곳! 바로 외국인 한국어겨루기 한마당이다.
'외국인 한국어겨루기 한마당'이란?
564돌을 맞이한 한글날을 맞이하여 평소 한국어를 관심 있게 배우던 외국인들에게 자신의 실력을 뽐낼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한국어 실력을 겨루는 것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사랑하는 외국인들끼리 서로 어울리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해 깊이 나누는 시간이 되었다.
※ 한글과 함께 하는 스케줄
짧은 글짓기 공모전으로 1차 예선을 통과한 100명의 외국인들은 2차 본선에서 본격적으로 한국어겨루기 한마당을 시작하게 된다. 한국어겨루기 한마당은 총 이틀 동안 진행되었는데, 첫째 날은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둘째 날은 분당 새마을연수원에서 열렸다. 마지막 3차 결선은 KBS방송국에서 한글날 특집으로 마련한 <우리말 겨루기> 참석이었는데, 4명의 우승후보 중 최종우승자 1명을 선발했다. 분당 새마을연수원에서의 한국어겨루기 한마당, 그리고 KBS 방송국에서의 치열한 한국어겨루기 경쟁. 그 활기 넘쳤던 현장을 다시 한번 되짚어보자!
분당 새마을연수원에서 만난 그들!
→ 연수원 앞 운동장에서 OX퀴즈가 진행 중이다. 다들 열심히 정답을 맞추려고 이리갔다 저리갔다 하는 모습이 정겹다.
굽이굽이 찾아간 분당 새마을연수원. 연수원을 둘러싼 산에서 스며 나오는 신선한 공기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의 순수한 열정과 닮아있었다. 기분 좋게 연수원에 도착하자 연수원 앞 잔디운동장에서 OX퀴즈대결을 벌이고 있는 그들을 만날 수 있었다. 넓은 운동장 가운데 중앙선을 기준으로 주어지는 한글낱말이 옳다고 생각되면 O에 서고, 틀리다고 생각되면 X에 서는 게임. 모두들 신이 나서 국적에 상관없이 어울리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다. 특히 한국어를 좀 더 잘하는 한명을 우르르 쫓아가면서 필사적으로 탈락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참가자들의 눈물겨운(?) 노력은 큰 웃음을 자아냈다. 첫판부터 탈락해서 울상 짓던 사람들도 중간에 패자부활전이 열리자 다시 얼굴이 환해지며 적극적으로 게임에 임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도우미 선생님들도 함께 웃고 떠들며 '한국어 아래 하나 되는 모습'을 연출했다.
→ 한국어를 배우며 경험했던 일을 주제로 교수님과 이야기를 나누는 참가자들. 자연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시원하게 자신의 경험담을 털어놓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연수원 안에서는 외국인들과 교수님들의 대화가 한창이었다. 팀별로 두 명의 교수님 혹은 한국어분야 관계자와 함께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한국어로 이야기하는 시간이었는데, 덕분에 그들의 속마음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중 가장 인상 깊었던 주제는 '어떻게 한국어를 접했고 공부했는가'였는데, 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를 무척 유창하게 구사하는 한 여대생이 손을 번쩍 들고선 또박또박 대답을 이어갔다.
"저는 지금 동국대 신방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중국학생입니다. 제가 처음으로 한국어를 알게 된 것은 1996년 드라마를 통해서 였어요. 배우 안재욱이 나오는 드라마였는데, 그가 나오는 한국드라마를 보며 스트레스를 해소했어요. 그러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만, 1997년 당시에는 한국어를 접하기가 어려워서 결국 포기했습니다. 그러다가 한국 남자친구를 만나며 다시 한국어를 배우고 싶었고, 몇 년 뒤에 한국어 열풍이 불면서 교재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 교재로 저는 한국어를 독학했고, 또 Skylife를 통해 회화연습을 해서 결국 한국어능력시험 듣기분야에서 만점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한국어를 더 배우기 위해 한국으로 유학온 상태입니다."
자신이 한국어를 접한 년도를 정확하게 짚어내며 또박또박 한국어를 배우게 된 경위를 설명하는 그녀의 눈은 열정으로 빛나고 있었다. 이 때, 교수님이 엉뚱한 질문을 하셨다.
"한국남자랑 교재 했다고 했는데, 중국남자와 비교해서 어떤 것 같아요?"
이 엉뚱한 질문에 재밌는 대답이 이어졌다.
"한국남자들은 멋있어요. 군대에 갔다와서 그런지 몸이 좋더라고요. 하하"
이어진 다른 외국인들의 한국어배우기 경험담도 다양했다. 어떤 친구는 만화 <짱구>를 통해 한국어를 접한 뒤 화장품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한국어를 배웠다고 한다. 또한 한국어를 더 연습하기 위해서 뉴스도 꼬박꼬박 챙겨봤다고 하는데, 한국어를 배우고자하는 욕심이 만만치가 않았다. 한국인으로서 한국어를 향한 이들의 열정이 대단해보임과 동시에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이 대회에 좀 더 바랄게 있다면'이라는 질문에 모두들 입을 모아 "프로그램이 더 활발해졌으면 좋겠어요! 우리가 경쟁하게 되면 대회는 더 흥미진진해질 것이고 같은 팀끼리는 더 단합이 잘 될 것 아니겠어요?" 참가자들의 당찬 대답에 교수들의 눈이 동그래졌다. 참가자가 부담스러워할 것을 고려해 겨루기와 대화 나눔의 중간지점으로 구성한 프로그램이었는데, 참가자들은 오히려 더 치열하게 도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원한다는 바람을 내비친 것. 예상치 못한 즐거운 제안에 교수들은 다음 대회 때 “적극적으로 의견을 수렴할 것”임을 약속했다.
KBS방송국까지 진출한 한국어사랑!
KBS <우리말 겨루기> 프로그램엔 총 4명이 결승전에 출연하게 되었다. 최종우승자 1등에게는 상금수여이라는 혜택도 있지만, 무엇보다 자신이 갈고 닦은 한국어실력을 인정받는 다는 의미에서 그 기쁨이 남다를 것이다. 프로그램 녹화에 앞서 출중한 한국어실력을 자랑하는 우승 후보 4명을 만나보았다.
→ 가브리엘과 그의 여자친구, 한국과 인도를 너무나 사랑하는 청년 선자이, “아쉽다~”며 우승소감을 밝힌 몽골청년 타미르 (왼쪽부터)
인도에서 온 선자이, 몽골에서 온 타미르, 프랑스인 가브리엘, 그리고 키르기스탄의 안나까지. 이 네 후보의 치열한 경쟁 덕분에 현장 분위기가 후끈 달아올랐다. 프랑스인 가브리엘은 불어불문전공의 여자친구와 함께 왔는데, '힘내♥가브리엘'이라고 씌어진 플랜카드가 유독 눈에 띄었다. 안나 역시 한국남자와 결혼해서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아이도 있다고 하는데, 지인들 말로는 그 아기가 엄마와 아빠를 닮은 혼혈이라서 무척 예쁘다고 연신 자랑이었다. 인도에서 온 선자이는 앞으로 한국어박사가 되고 싶다는 바람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인도와 한국이 서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어 안타깝다며 그러한 오해를 꼭 풀어주고 싶다며 각오를 다졌다. 꿈을 향한 열정을 가득 담아 이야기를 이어가는 선자이는 인도와 한국의 관계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더욱 눈길을 끌었다.
→ 치열한 접전을 펼친 안나와 타미르, 시크릿의 '마돈나' 댄스를 완벽히 재현한 타미르, 문제 풀이에 집중하고 있는 참가자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녹화를 지켜보는 한국인들이 혀를 내두를 정도로 한국어에 능통했던 4명의 우승후보들. 두 단어 중 틀린 것 고르기 코너에서 '계시판/게양대'가 문제로 나왔는데, 네 명 모두 무사히 통과했다. '이용하십시요/안돼요'가 문제로 나왔을 때는 선자이가 택시아저씨한테 '이용하십시오/요'에 대해 물어본 적이 있다며 "택시아저씨께 감사하다는 말씀드리고 싶다"며 능청을 떨기도 했다. 각자 열심히 노력했지만 우승을 향해 도전하게 된 두 사람은 안나와 타미르. ‘한글 퍼즐 맞추기’를 한 끝에 결국 타미르가 최종 우승후보가 되었다. 이제 자신과의 싸움만 남겨 놓은 상태. 그러나 아쉽게도 첫 문제에서 띄어쓰기를 틀리는 바람에 최종우승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 안타까움의 탄성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가운데 타미르 역시 아쉬운 표정이었다.
방송녹화가 끝난 후 가진 인터뷰에서 타미르는 한국어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아낌없이 보여줬었다. 최근 몽골에서는 한국어가 대유행이라고 한다. 2015년까지 한국에서 대학을 다닐 예정인 타미르는 이번 대회 참가를 통해 “한국어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 좋다”며 밝게 웃어보였다. 응원과 관련한 재미난 에피소드도 있었는데 선자이를 응원하러 온 몽골 친구들이 선자이보다 타미르를 더 열렬히 응원하기도 했다고. ‘한글’이란 이름 아래 각기 다른 국가를 가진 외국인들이 하나가 되는 순간이었다. 이처럼 한국을 사랑해주는 외국인들이 더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방송국을 빠져나왔다.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사랑하는 이들의 열의에 찬 눈빛을 보며 대한민국 국민인 것이 그 어느 때보다도 자랑스러웠다. 집으로 돌아오는 내내 발걸음이 가볍고 괜히 어깨가 으쓱해졌다.
글/사진_이정화(문화체육관광부 대학생기자)
Subscribe to:
Posts (Atom)
कोरियाई प्रायद्वीप का बदलता भू-राजनीतिक परिदृश्य
कोरियाई प्रायद्वीप पर उत्तर और दक्षिण कोरिया के संबंधों की वर्तमान स्थिति एक नए युग की भू-राजनीतिक प्रतिस्पर्धा का प्रतीक है। यह बदलाव वैश्...
-
In a misguided attempt to help multiethnic families and their children and to bolster falling birthrates, the Korean government took another...
-
(उत्तर कोरिया के राष्ट्रपति किम जोंग उन (बाएं से पहले) अपने सैन्य सलाहकारों के साथ सिगरेट पीते हुए) सीओल(दक्षिण कोरिया) -- उत्तर कोरि...
-
I love traditional Korean rice cakes (called “tteok”). Some people eat rice cakes in the morning as a grab-and-go breakfast while some other...